웹분석 지식

웹로그분석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한 기초 지식입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및 기본 활용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 용어 ]직접유입
웹사이트 방문자는 검색엔진, 이메일, 카페, 블로그, 검색광고, 배너광고 등의
여러가지 링크를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하고 있으며,
에이스카운터는 다양한 방문자들의 유입출처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만약 인터넷 주소창에 주소를 직접 입력하고 웹사이트에 방문한 경우에는 어떻게 분석될까요?
에이스카운터는 방문자의 유입출처가 없는 경우 이를 '직접유입'으로 분석합니다.

즉, 직접유입은 유입출처(=레퍼러(referrer))가 없는 유입을 말합니다.
웹사이트 환경이 다양해지면서 주소창에 직접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 외에도
유입출처가 남지 않는 유입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직접유입으로 분석되는 케이스를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즐겨찾기(북마크)를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한 경우
2. 주소창에 직접 주소를 입력하여 웹사이트에 방문한 경우  
3. 바탕화면 바로가기 아이콘을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한 경우(검색엔진 바로가기 클릭한 경우가 아님)
4. 유입출처가 남지 않는 형태의 배너광고를 진행하는 경우
    (플래시 배너광고는 유입출처가 남지 않으며, 광고사 페이지를 거친 후 사이트로 이동하는 광고 중 일부는
    이동방식에 따라 유입출처가 남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방문한 경우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등 어플리케이션(APP) 내의 링크로 방문하는 경우 유입출처가 남지 않습니다)
6. 문자(SMS)의 링크, QR 코드, 한글 인터넷 주소로 방문한 경우

이 외에도 유입출처가 없는 경우 '직접유입'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Tip. 
배너광고, 페이스북 광고 등의 마케팅을 진행하는 경우
        에이스카운터의 캠페인 설정을 통해 '직접유입'이 아닌 해당 광고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 배너광고나 어플리케이션에서 광고를 진행하는 경우
  [ 설정 > 캠페인 > 배너광고 ] 에 등록하신 후 배너 클릭 시 연결되는 URL에 광고코드를 반영해주셔야 합니다.

  > 'SNS 유입 분석 - 설정' 방법 바로가기


  - 한글인터넷주소를 이용중인 경우
  [ 설정 > 캠페인 > 한글인터넷주소 ] 에서 등록하고 광고코드를 반영해 주셔야 합니다.

  - QR코드를 이용하는 경우
  [ 설정 > 캠페인 > QR코드 ] 에서 등록하여 생성된 QR코드를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쉽게 시작하고 깊게 분석하는 에이스카운터 로그분석

 

다음 [용어]내부유입
이전 [용어]전환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