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분석 실전 활용

웹로그분석 실전 활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에이스카운터 통계 및 설정부터 데이터 확인까지 실전에 적용하고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 통계 ]부정클릭 의심 분석(1) - 검색광고 중복유입 확인

클릭 마다 광고비가 소진되는 CPC 광고를 진행중인 광고주라면
'고객이 정말 광고를 클릭할까?' '혹시 경쟁사에서 클릭하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한번쯤은 해보셨을 겁니다.

에이스카운터에서는 동일한 기기(PC,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서의 중복 방문에 대해 분석하는 리포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설정으로 의심유입 발생 시 알림 메일 발송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먼저 CPC 중복 유입 데이터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복 유입 데이터 확인 방법
[분석통계 > 검색광고효과 > 중복유입 간격] 리포트
조회한 기간 내 유입한 방문자의 Unique ID를 분석하여, Unique ID 별로 중복 유입 내역 및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Unique ID란?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에이스카운터에서 부여한 고유 값입니다. CPC 광고 클릭 후 사이트 방문 시 Unique ID를 통해 동일 방문자임을 분석합니다.
때문에, IP가 변동되더라도 동일한 방문자임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 샘플 리포트에서 보여지는 방문자는 10분 이내 광고를 10회 유입했습니다. 모든 유입이 첫 페이지 확인 후 이탈했습니다. (평균 페이지뷰1) 
이러한 경우, 해당 방문자를 부정클릭으로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단, 광고 매체정보가 없는 경우, 에이스카운터 광고코드가 적용된 사이트 URL이 즐겨찾기로 등록되어, 이를 통해 유입된 경우일 수 있습니다.
!  '매체정보없음' 자세히 알아보기


의심되는 IP에서 광고클릭을 원치 않는다면 광고사에서 제공하는 광고노출제한 기능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_
관련 콘텐츠
부정클릭 의심 분석(2) - 검색광고 의심유입 분석
부정클릭 의심 분석(3) - CPC 검색어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

다음 [통계]부정클릭 의심 분석(2) - 검색광고 의심유입 분석
이전 [통계]이메일마케팅 성과 측정(2) - 이메일마케팅 효과 분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