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SNS'로 자동 분석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다양한 모바일 환경으로 인해 유입출처를 알 수 없어 자동분석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환경에서 자동분석이 안되는지, 유입출처를 알 수 없을 때 에이스카운터에서는 어떻게 분석되는지,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NS'로 자동분석이 안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하여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에 접속 후 사이트로 방문하게 되면 유입출처 확인이 불가합니다. 만약 SNS을 통한 마케팅을 진행하는 경우라면, 연결URL을 직접 수정할 수 있으므로, 광고로 설정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SNS 마케팅 설정방법 1. 배너광고 설정 [설정 > 캠페인 > 배너광고] 메뉴에서 프로모션명과 배너광고명(분석에 사용할 이름), 연결URL(연결할 페이지 주소)을 입력 후 등록합니다.
2. 광고코드 복사 등록이 완료되면 광고코드가 생성됩니다. '코드보기' 클릭 후 생성된 광고코드를 복사합니다.
3. 마케팅 연결URL에 광고코드 적용 마케팅글 작성 시 2번에 복사한 광고코드를 적용합니다. (아래 페이스북 적용 예시)
SNS 마케팅 데이터 확인 [분석통계>마케팅효과>배너광고] 메뉴에서 해당 프로모션의 유입수, 전환수 등 분석이 가능합니다.